리눅스 기초
우분투와 centOS에 텔넷(Telnet) 설치하기
여유곰
2024. 6. 5. 13:36
텔넷(Telnet)은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를 원격으로 조작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사용이 간편하지만 전달하는 데이터가 암호화 되어 있지 않아
해커가 패킷을 가로채면 주고 받는 내용을 전부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보안이 담보되는 내부 통신망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거나
보안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학습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텔넷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안 기능이 추가된 SSH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1.
우분투에서 텔넷 설치는 조금 번거롭다.
먼저 프로그램 세 가지를 설치해야 한다.
프로그램 설치는 root계정에서 하거나 명령문 앞에 sudo를 붙여야 한다.
# apt install telnet
# apt install telnetd
# apt install xinetd
설치가 끝났으면 vi나 vim을 사용해서 /etc/xinetd.conf파일을 열자
# vim /etc/xinetd.conf
파일 맨 뒷 부분에 아래 문구를 추가하자
service telnet
{
disable = no
flag = REUSE
socket_type = stream
protocol = tcp
wait = no
user = root
server = /usr/sbin/in.telnetd
log_on_failure += USERID
}
- service telnet 백그라운드로 동작할 서비스명을 지정한다.
- disable 서비스 활성화 여부를 선택한다. (start = no, stop=yes)
- flags 서비스 포트가 사용중이면 재사용을 요청한다.
- socket_type TCP는 stream을 UDP는 dgram을 입력한다.
- protocol TCP 또는 UDP를 설정한다.
- wait yes일 경우 한 대만 접속 가능하다.
no인 경우 추가 접속자에게 대기 시간을 제공한다.
- server 서비스를 실행할 파일 위치를 지정한다.
- log_on_failure 로그온에 실패할 경우 해당 계정을 로그파일에 기록한다.
입력 후 wq로 저장하고 밖으로 나온다.

이번엔 파일을 하나 더 수정해 보자.
# vim /etc/services
telnet 23/tcp 옆에 telnetd를 추가 입력한다.
telnet 23/tcp telnetd

수정이 끝났으면 xinetd를 시작하자.
# systemctl start xinetd

정상적으로 설치되어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2.
centOS에 텔넷 설치하기
우분투보다 설치할 것도 적고 단순한 편이다.
# yum install telnet
# yum install telnet-server
설치가 끝났으면 텔넷을 시작하자.
#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정상적으로 실행중인 것을 볼 수 있다.
3.
이제 실제 작동이 되는지 테스트해 보자.
먼저 텔넷을 설치한 우분투와 통신을 해 보자.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telnet 상대방아이피
# telnet 192.168.35.217

로그인에 성공했다. 이제 텔넷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하지만 앞서 말했던 것처럼
텔넷은 보안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스니핑 공격에 취약하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