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기초

텔넷(Telnet)은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를 원격으로 조작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사용이 간편하지만 전달하는 데이터가 암호화 되어 있지 않아 해커가 패킷을 가로채면 주고 받는 내용을 전부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보안이 담보되는 내부 통신망에서 제한적으로 사용하거나  보안을 공부하는 학생들의 학습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텔넷을 사용할 경우에는 보안 기능이 추가된 SSH를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1.우분투에서 텔넷 설치는 조금 번거롭다. 먼저 프로그램 세 가지를 설치해야 한다. 프로그램 설치는 root계정에서 하거나 명령문 앞에 sudo를 붙여야 한다. # apt install telnet# apt install telnetd# apt install xinetd 설치가 끝났으면 vi나 ..
칼리 리눅스 설치 과정에서 root 패스워드 입력하라는 과정은 따로 없었지만root로 변환하려고 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나온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이 진행하면 된다. $ sudo passwd[sudo] password for user01: 로그인한 사용자의 패스워드 입력New password: root 패스워드 새로 입력Retype new password: root 패스워드 확인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이제 다시 로그인해 보자.이제 root 계정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리눅스 서버를 만들고 관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 계정 관리는 중요하다.외부에서 공격자가 root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알아내 몰래 접속하는 경우는 빈번한 해킹 방법중 하나이다.따라서 리눅스 서버 운영자는 사용자 계정 관리 방법에 대해 알아 둘 필요가 있다. 리눅스의 사용자 계정은 세 가지로 나뉜다. 1. root계정 = Super user    모든 권한을 가진 특별한 사용자.    UID=0 root:x:0:0:root:/root:/bin/bash  2. 시스템 계정    리눅스 설치 및 새 패키지를 설치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계정    로그인 해서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함.    /etc/passwd로 계정을 확인할 때 맨 뒤에 nologin 이라고 붙어있는 것이 이런 경우이다. gdm:x:42:42:..
setUID와 setGID 개념을 알아보기 전에 먼저 UID와 GID를 먼저 알아야 한다.UID는 리눅스에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숫자이다.마치 학교에서 학생 이름과 별도로 1번, 2번처럼 번호를 부여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보면 된다.GID도 비유를 하자면 같은 3학년 안에서 1반, 2반 처럼 반을 나누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리눅스에서 UID와 GID를 알아보려면 /etc/passwd 파일을 확인해야 한다. [user01@localhost ~]$ cat /etc/passwd | grep rootroot:x:0:0:root:/root:/bin/bash  root의 UID와 GID는 모두 0으로 설정된다.다른 유저의 UID와 GID도 확인해 보자. [user01@localhost ~]$ cat ..
umask를 사용한 생성 파일 권한 설정  리눅스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만들면 자동으로 다음과 같은 권한이 설정된다. [root@localhost user01]# touch test.txt[root@localhost user01]# mkdir testDirectory[root@localhost user01]# ls -l -rw-r--r--. 1 root root 0 12월 31 10:00 test.txtdrwxr-xr-x. 2 root root 6 12월 31 10:01 testDirectory 파일의 경우 소유자 rw- 소유 그룹 r-- 기타 사용자 r-- 권한이 설정되며디렉터리의 경우 소유자 rwx 소유 그룹 r-x 기타 사용자 r-x 권한이 자동으로 설정된다. 만일 자동으로 설정되는 권한을 변경하..
소유권 변경하기 소유자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소유한 사용자를 뜻한다. 리눅스에서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생성한 사용자가 그 파일의 소유자로 자동 등록된다.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소유자를 변경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 이 경우 chown이나 chgrp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단 소유자 또는 root만 소유권을 변경할 수 있다. chown명령어의 사용법을 알아보자. (sudo) chown 소유자 파일명 text.txt 파일의 소유자를 user01에서 user02로 변경해 보자. root계정에서 실행하는 것이 아닐 경우 명령어 앞에 sudo를 붙여야 한다. [user01@localhost ~]$ ls -l -rw-r--r--. 1 user01 group01 0 12월 30 11:33 test.txt u..
여유곰
'리눅스 기초' 카테고리의 글 목록